
ESG 경영전략

Eon Adds
Sustainable Value
in Business Strategy
혁신적 방안을 통해 지속가능 경영전략의 기틀을 다지고
고객사가 사회 공동체와 함께 성장하는 기업이 되도록 기여합니다


Our Works
ESG
Management
기업 활동의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개선 등의 비재무적 성과를 관리하여 글로벌 수준의 ESG 체계로
고도화 합니다
Environment
Management
기업의 환경방침과 목표,
환경조직, 환경경영 시스템,
환경성과 등을
기록, 측정하여 프로세스 개선
고도화 및 내외부 이해관계자와
소통하는 방안을 지원합니다
Carbon
Management
기업에서 탄소경영 활동을
진단하고, 마스터 플랜 수립 및
세부 이행과제 수립을 거쳐 성과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ESG는 글로벌 환경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핵심요소로
환경(Environment),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 측면의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을 고려하는 것입니다.


사용하는 자원이나 에너지,
발생시키는 기물 등의
관리방안이 친환경적인가?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고 관리실천하는 것
인권이나 지역사회,
형평성, 다양성 존중 등
사회적 문제에 기여하는가?
공동체의 가치에 따른
사회적 역할·책임을 수행하는 것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
의사결정 과정이 민주적이고
투명하게 운영되는가?
이해관계자 간 소통에 기반한
원칙을 이행하는 것


ESG는 일시적인 유행이 아니라
인류가 직면한 기후변화나 코로나 팬데믹과 같은 문제들 에 대해
근본적이고 필수적인 접근 방식입니다.
ESG 컨설팅 및 교육 커리큘럼
실무자
일반인, 학생
01
기업차원에서 ESG를 추진, 기획하는 실무자
-
산업별(금융, 제조, 서비스 등) 해외 및 국내 비교 분석
-
조직 전담부서, 사업 성숙도, 이해관계자 연계 방안
-
시사점 및 제언
01
민주시민 관점에서 ESG
-
개인이 환경보호를 실현하기 위한 생활 속 과제
(친환경용품 사용, 대중교통 이용, 녹색에너지 구매 등) -
시사점 및 제언
02
지자체, 공공기관 차원의 ESG 교육
-
국내외 Public Sector 환경 분석 및 제시
-
조직 전담부서, 사업 성숙도, 이해관계자 연계 방안
-
시사점 및 제언
02
대학교 차원에서 ESG 강연
-
학교, 학과, 행정부서, 학생회, 해외 및 국내 비교 분석
-
조직 전담부서, 사업 성숙도, 이해관계자 연계 방안
-
시사점 및 제언
03
기술적 관점에서 ESG 추진내용 벤치마킹
-
기후변화, 탄소중립 등
-
기술수준, 적용범위, 사업화 등 국내 비교분석
-
조직체계, 전담부서, 사업성숙도, 이해관계자 연계 방안
03
대학교에서 전략, 오퍼레이션 컨설팅 교육
-
학교, 학과, 과목, 동아리, 대학생 대상
-
전략, 오퍼레이션 컨설팅 교육
-
Case Study, Guesstimation Study
04
평가지표 관점에서 ESG 추진내용 벤치마킹
-
평가기관 지표 공통점 vs 차이점
-
산업별, 규모별, 국가별 국내 비교분석
-
조직 전담부서, 이해관계자 연계, 시사점 및 제언
04
초중고 대상 ESG 및 논리 교육
-
ESG의 기초와 논리적 사고 증진 교육
-
컨설팅적 사고의 중요성과 내재화 방안
-
영재교육